문자열 메소드
-
.slice()
→ 문자열의 일부를 추출하는 것 -
.trim()
→ 문자열 양 끝의 공백 제거 -
정규표현식 (어렵다) → 계속 공부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. 정규표현식 관련 블로그 바로가기
숫자형 메소드
.isInteger(값)
→ 정수인지 아닌지 여부를 검사 // → 정수이면 true;.parseInt(값)
→ 들어온 값을 정수로 파싱하는 것, 문자열이 들어오면 NaN;.parseInt(값, 진법)
→ 진법으로 변환시에도 사용, 10진법이어도 10을 넣는 것이 권장..parseFloat(값)
→ 들어온 값을 실수로 파싱하는 것, 문자열이 들어오면 NaN;.toFixed(남길 소숫점 자릿수)
→ 기본은 소숫점 자리 없이 반올림, 이전 소숫점에서 반올림.
Math.메소드()
Math.min(값들) / Math.max(값들)
→ 최솟값, 최상값Math.floor(값)
→ 내림Math.round(값)
→ 반올림Math.random()
→ 0~1 사이의 난수를 리턴Math.pow(base, exponent)
→ base ^^ exponent; 제곱을 찾는 메소드Math.sqrt(값)
→ 값의 ‘제곱근’ 호출Math.abs(값)
→ 값의 ‘절대값’ 호출
배열의 메소드
Array.isArray(배열) → true
→ 배열이 input 되면 true 를 뱉는 메소드- 배열
.indexOf(element)
→ 해당 element의 인덱스 값을 뱉는다. / 없는 element는 -1 리턴 - 배열
.includes(element)
→ 해당 element 가 있는지 없는지 true, false 리턴 - 배열
.join()
→ 배열의 요소들을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드는 메소드 (기본값은 ,로 구분) .push(element)
→ 맨 마지막에 element를 삽입.pop()
→ 맨 마지막 요소를 배열에서 삭제.shift()
→ 맨 앞의 요소를 배열에서 삭제.unshift(element)
→ 배열 맨 앞에 요소 추가.concat()
→ immutable, 서로 다른 두 배열을 합치는 메소드. 순서대로 붙인다. 중복 등은 신경 안쓴다.- 배열
.slice()
→ 원본 배열 손상 없이 똑같이 복제 .slice(시작 인덱스, 마지막 인덱스 + 1)
→ 쪼개서 찾을 배열을 범위별로 자른다.
배열의 함수형 메소드 (forEach, map, filter, reduce)
-
배열에 사용되는 함수형 메소드는 파라미터로, 결국 배열의 요소 하나하나를 가르킨다고 할 수 있다.
-
배열.forEach(함수)
→ 배열을 반복하는 방법인데, 만들어둔 유틸리티 함수를 통해서 배열의 정보를 손쉽게 가져오는 방법
let arr = ["a", "b", "c"];
function foreach(word) {
// 파라미터에는 현재 배열의 값, 인덱스, 원본 배열 순이다.
return word;
}
arr.forEach(foreach); // -> a, b, c 값을 하나씩 가지고 온다.
배열.map()
→ immutable, 원본 배열과 길이는 같지만 형태가 다른 배열을 만들 때 주로 활용
let arr = ["a", "b", "c"];
arr.map(function (word) {
//파라미터는 .forEach 메소드와 동일하다.
return word;
}); //-> [a, b, c]
배열.filter()
→ 만들어진 함수에서 조건을 복사한다. immutable
let arr = ["a", "b", "c"];
function getB(word) {
return word === "b";
}
arr.filter(getB); // -> ['b']
배열.reduce(reducer <- 함수명, 초기값)
→ 배열을 합치기 위한 메소드, 배열의 요소들을 특정 기준으로 합쳐 새로운 하나의 값으로 만드는 함수형 메소드.
// 리듀스 메소드를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 'reducer'
function reducer(accumulator, value, index, array) {
return accumulator; // 리턴값이 누적값으로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.
}
// 리듀스 사용
array.reduce(reducer, [초기값]);